관부가세 계산 쉽게 하는 방법 3분 컷(ft. 목록통관 일반통관 차이)

해외직구 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이 목록통관 품목에 해당하는지, 일반통관 품목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관부가세를 부과하는 기준과 면세 여부가 달라집니다. 즉, 모든 직구 상품에 관부가세가 매겨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오늘은 해외직구 시, 꼭 알고 있어야 하는 목록통관과 일반통관에 대한 개념정리와 함께 관부가세 계산을 쉽게 하는 방법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해외직구에 관련된 기초가 부족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꼭 먼저 읽어보신 다음, 본 내용에 임해주시면 좀 더 빠르게 이해하실 수가 있습니다.

해외직구 나도 할 수 있다! 기초 편 A – 합산과세 100% 이해하기

해외직구 나도 할 수 있다! 기초 편 B – 면세한도 계산하는 방법 마스터하기

관부가세 계산


관부가세란?

우선 관부가세가 어떤 단계를 거쳐 부과가 되는지부터 마스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관부가세를 납부해야 한다고 말할 때의 ‘관부가세’란 ‘관세’와 ‘부가세’를 함께 의미합니다.


1. 관세 = ① 수입물품 과세가격 X ② 관세율

2. 부가세 = (수입물품 과세가격+관세) X 10%

3. 관부가세 = 관세+부가세


여기서 관세는 해외에서 수입(또는 수출)해서 들여오는 물품의 과세가격에 매기는 세금을 말하며, 부가세는 이 수입물품 과세가격과 관세를 더해 준 금액에 다시 부가가치세 10%를 부과해 줍니다.

① 수입물품 과세가격

‘수입물품 과세가격’이란, 구입한 물품의 가격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물품 가격에 과세 운임까지를 모두 포함된 금액을 말합니다.

예를 들자면, 한국까지 직접 배송이 불가능한 미국 직구사이트에서 물품을 구매한 했을 경우엔 한국까지 배송을 대행해 줄 배송대행지까지는 배송을 해주게 됩니다. 바로 이 배송비용은 과세가격에 포함된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현지 쇼핑몰에서 국내까지 직배송을 해주는 경우엔 배송비를 수입물품 과세가격에 별도로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즉 결제한 최종 가격 안에는 이미 한국 직배송 비용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유럽직구로 상품가격이 130달러인 의류를 구매하였습니다.

유럽 현지 배송비는 30달러이고, 배대지에서 한국으로 보내는 배송비가 50달러인 경우 수입물품 과세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입물품 과세가격(160달러) = 의류 상품가격(130달러) + 유렵 현지 배송비(30달러)

즉, 배대지에서 국내로 보내는 배송비(50달러)는 수입물품 과세가격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최종적으로 수입물품 과세가격은 총 160달러입니다. 그러므로 150달러를 초과하여 관부가세 대상이 되었습니다.

② 관세율

관세율은 물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됩니다.

주요품목별 관세율 사례

- 의류 및 신발 품목 : 13%

- 가방 및 지갑 품목 : 8%

- 레저용품 목폭 : 8%

- 완구 품목 : 8%

- 주방용품 품목 : 8%

- 일반 시계 및 카메라 품목 : 8%

- TV 품목 : 8%

- 향수 : 6.5%

- 노트북 PC 및 스마트폰 품목 : 0%

※ 100만 원 및 200만 원 이상의 시계와 카메라 품목은 관세와 부가세 이외에도 개별소비세 20%, 교육세 30%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지금까지 관부가세가 부과되는 단계를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관세를 부과할 때 면제와 부과의 기준이 되는 잣대는 어떻게 될까요?

수입 물품에 관세를 부과할 때는 관세청에서 법으로 미리 정해 놓은 물품의 종류와 가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목록통관과 일반통관으로 나누어집니다.


목록통관

목록통관은 수입신고를 생략하고 별도의 절차 없이 서류만으로 하는 특별통관에 해당합니다.

배송업체의 수입 목록 제출만으로 수입신고를 대신한다고 하여 목록통관이라 부릅니다.

미국 쇼핑몰에서 구매 시엔 결제금액 200달러 이하까지는 관세가 면제되고, 그 외 국가(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캐나다 등)는 150달러 이하까지 관세가 면제됩니다.

이때 150달러의 기준은 상품 가격과 현지 세금, 그리고 현지 배송비 등이 모두 포함된 금액을 말합니다. (미국 발 물품은 200달러 이하)

대표적인 품목으로는 가방, 신발, 의류, 생활용품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단, 전자제품 품목은 미국에서 구매하더라도 150달러 이하까지만 관세가 면제됩니다.





일반통관

이에 반해 목록통관에 포함되지 않은 제품들은 모두 일반통관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즉 일반통관은 수입 신고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하고, 통관 시 물품들을 직접 확인합니다.

결제금액 150달러(미국 발 물품도 150달러까지임)까지는 과세가 면제됩니다.

이때 150달러의 기준은 상품 가격과 현지 세금, 그리고 현지 배송비 등이 모두 포함된 금액을 말합니다. (미국 발 물품도 150달러 이하)

일반목록


대표적인 일반통관품목으로는 식품, 커피(원두), 주류(양주, 와인), 담배, 의약품, 의료기기, 한약재,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화장품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참고사항

미국 아이허브, GNC 사이트 등에서 건강보조식품 또는 비타민 영양제 등을 구입하실 경우엔 150달러(6개까지) 이하로 구입하셔야만 관부가세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6개 이상 구매 시에는 의사의 확인서 또는 처방전이 필요하며, 이러한 확인 서류가 없을 경우엔 폐기하거나 반송해야 합니다.


관부가세 계산하기

지금까지 배운 지식을 무기로 관부가세 계산을 어떻게 하는지 응용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미국 직구 사이트에서 230달러를 결재하고 선글라스를 구매하였습니다.

미국 현지 배송비로는 30달러를 지불했으며, 배대지를 이용하여 한국까지 배송하는 비용은 50달러를 결재했습니다.


- 수입물품 과세가격 : 260달러 X 1,388.9원 = 361,114원

- 관세 : 361,114원 X 8% = 28,889원

- 부가세 : 390,000원 X10% = 39,000원

- 관부가세 : 28,889원+39,000원 = 67,889원

① 수입물품의 과세가격은 총 260달러(상품 가격 230달러+현지 배송비 30달러)이므로, 이를 원화로 환산하면 361,114원입니다.(수입 주간환율 1달러당 1,388.9원 기준)



② 미국 선글라스 품목 관세율이 8%이므로, 관세는 28,999원입니다.

③ 부가세는 (수입물품 과세가격 + 관세) x 10% = 39,000원이 됩니다.

④ 따라서 최종적으로 미국에서 직구한 선글라스의 관부가세는 67,889원이 나옵니다.

여기서 반드시 기억해주셔야 할 점은 관부가세는 직구사이트에서 구매한 시점의 환율이 아닌, 국내로 통관이 된 시점의 환율을 적용한다는 점입니다.

물론 이렇게 수기로 일일이 계산할 수도 있지만, 다음과 같이 관세청에서 제공하는 관부가세 계산기나 네이버 관부가세 계산기를 활용하면 보다 쉽고 빠르게 관부가세를 구하실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원리와 단계를 이해하고 위와 같이 수기로 직접 계산하실 정도의 실력이 되신다면, 해외직구를 하신 다음 관부가세 때문에 낭패를 겪는 일은 단언코 앞으로 없으실 겁니다.


관세청 관부가세 계산기







네이버 관부가세 계산기





참고사항

– 정확성은 관세청 관부가세 계산기가 네이버 계산기에 비해 뛰어남

– 이에 반해 이용 편의성은 네이버 관부가세 계산기가 편리함

– 네이버 관부가세 계산기 이용 시 ‘물품무게’ 입력 칸에는 별도로 무게를 입력해 주실 필요 없음


당신이 놓치신 꿀 정보만 모았습니다!

명품직구사이트 직구하기 편한 TOP10만 골랐습니다! (1편)

해외의류 명품직구 사이트 2편(TOP6~TOP10까지)


카테고리 인기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