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2차전지와 전기차 대장주인 테슬라(TSLA)가 실적부진으로 상당한 조정을 받고 있는지라 국내 2차전지 관련주도 덩달아서 모두 하락추세입니다. 이 와중에도 에코프로는 다시 꿈틀꿈틀 상승세(?)로 돌아선 듯하며, 특히, 엔켐이라는 종목은 연일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면서 급상승 중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왜 엔켐이 제2의 에코프로라고 불리우게 되었는지 그 이유와 함께 주가전망을 해보겠습니다.
2차전지 전해액이란?
리튬 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하면서 전기를 만들어내는 원리로 작동하는 이차전지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의 4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중 전해액은 리튬 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역할과 함께 전류를 잘 흐르게 해주는 물질로 충전과 방전을 해줍니다. 또한, 전해액은 전지의 수명과 출력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소재이기도 하고요.
이에, 현재 엔켐의 글로벌 위상은 중국 기업들을 제외하곤, 가장 높은 세계시장 점유율(약 7%)을 기록하고 있습니다.(국내에서는 단연코 1위)
엔켐 홈페이지를 방문해 봐도 ‘대한민국 대표 전해액 기업’이라는 슬로건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올 만큼 세계 5대 전지 메이커 중 LGES, SKON, CATL 업체에 납품하고 있으며, 배터리 제조사10여 곳, 국내외 EDLC 제조업체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전해액을 만들어 공급하고 있습니다.
생산하는 제품 중 전해액이 차지하는 매출 비율(2023년 1분기~3분기) 표를 보시더라도 전해액 생산에 얼마나 진심인지를 실감하실 수 있을 듯합니다. 반면에 2차전지 산업이 큰 타격을 입을 시, 가장 위험한 매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기업이기도 하지만요.
하지만, 현재의 엔켐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가장 큰 수혜를 받고 있는 기업임이 틀림없어 보입니다.
그 이유인 즉,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해외 우려기업(FEOC) 세부 지침 발표로 인해 중국 전해질 생산 기업들이 미국 내 전기차 브랜드에 대한 납품이 사실상 모두 막힌 상태나 다름없기 때문입니다.
해외 우려기업(FEOC) 세부지침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 관련 기업이 생산한 핵심 부품, 광물을 탑재한 차량에 대해 보조금 지급을 제한
그러므로, 현재 미국 내 사업환경은 상당히 우호적입니다. 게다가, 전해액을 만드는 생산 과정 뿐만 아니라, 운반 과정도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미국은 자국 내 생산시설이 있는 기업들만을 상대하려 합니다.
이에 질세라, 엔켐은 미국 내 생산공장 증설에 나선 상태로써, 조지아 공장의 생산능력을 올해 말까지 연간 10만t, 내년 말까지 총 20만t 규모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엔켐, 돈은 잘 벌고 있나요?
그렇다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주가만큼 수익은 잘 내고 있는지 살펴봐야겠습니다.
주식은 미래에 투자하는 상품이라고는 하지만, 실적은 아직 실망스럽기 그지없습니다.
최근 실적은 2021년 매출액 2,143억, 영업이익은 260억 적자, 2022년은 매출액 5,098억, 영업이익은 154억으로 흑자로 전환된 상태입니다. 작년 2023년 2차전지 업황은 그다지 좋지 않았기에, 2022년과 비슷한 실적을 내게 되면 선방한 듯합니다.
결국, 주가에 부흥할 만한 실적을 내기 위해선, 캐파확장을 통한 시장점유율을 늘려나가는 방법밖엔 없을 듯한데요, 그런 차원에서 무엇보다도 2023년(30만톤), 2024년(90만톤), 2025년(110만톤), 2026년(120만톤)까지의 캐파 확대 계획안이 차근차근 잘 이행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글로벌 2차전지 산업 컨디션도 2024년 하반기부터는 다시 좋아진다는 리포트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것을 보니, 그나마 안심은 좀 됩니다.
엔켐 주가 전망
하지만, 주가는 올라도 너무 오른 상태입니다. 제가 주주라면 이제 하차하여 수익실현을 하는 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주가는 2024년(2월 현재) 들어 와서만 150% 이상 급등했습니다. 이 정도 오르면 충분히 오른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곧 조정에 들어가지 않을런지요.
투자자별 매매동향을 살펴보아도 거의 개인들이 매수하여 지금 가격대까지 영차영차 끌어올린 듯 합니다.
기관은 계속 내다 팔고 있으며, 외국인 매집도 그다지 많아 보이지 않습니다. 특히 연기금이 계속 매도하고 있다는 것은 곧 가격 하락(?) 시작.
게다가, 미국 대선이 자꾸 다가옵니다. 미국 대선은 2차전지 산업테마 뿐만 아니라, 자본시장 전체에 큰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트럼프가 당선되면 더더욱.
주목할 만한 종목 더 보기
▶ 삼성전자 배당금과 1억 원 예금이자 수익을 비교해보니!
▶ 2023년 4분기 삼성전자 배당금 언제 줄까? (보통주361원, 우선주362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