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어떤 변화가 시작되면 참 빠르게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보자면, 전기차 대수가 늘어나면 날수록 가솔린 주유소는 많이 줄어들고 전기차 충전소가 많이 생겨날 듯합니다.

물론, 개인 주택이나 주거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 수요도 지금보다는 훨씬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다면 이쯤해서 개인이 설치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의 종류 및 설치비용이 참 궁금해지는데요, 그래서 자세히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전기차 충전기 종류
전기차 충전기는 상업적인 전기차 충전소와 개인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 그리고 업무, 상업, 공공시설 등에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크게 3가지로 나눕니다.

급속충전기
급속충전기의 공급전력은 100kw로 30분~1시간 내에 전기차 배터리의 80%까지 충전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설치면적은 약 4㎡ 공간을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높은 전압으로 인해 자동차에 무리를 줄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완속충전기
완속 충전기는 스탠드에 고정시키는 스탠형과 벽에 바로 부착할 수 있는 벽부착형 2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완속충전기의 공급전력은 5kW에서 11kW 내외로 충전 소요 시간은 100% 완충 시 최소 4시간에서 6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스탠드형 완속 충전기를 설치할 경우엔 약 1㎡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요.
자기 집 주차장에서 편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는 뜻에서 일명 ‘집밥’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 (2024 최신버전) 집밥 완속충전기 설치순서 및 설치비용이 궁금하시다면 클릭!
과금형 콘센트 충전기
아파트 주차장 벽면 220V 콘센트에 과금 장치를 달아 전기차 충전기로 전환시키는 전기차 충전기를 자주 보셨을텐데요, 이런 형태의 전기차 충전기를 과금형 콘센트 충전기라고 합니다.
사용방법은 콘센트에 표시된 QR코드를 찍거나, 또는 회원카드를 태그한 후 바로 일반 220V 코드를 연결하여 충전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공급전력이 3kW에서 3.5kW 내외로 크기 않기 때문에 완충까지 무려 8시간 이상이 소요된다는 것은 옥의 티입니다.
▶ 2024년 확 바뀐 전기차보조금 규모 지금 바로 알아보러 가기
전기차 충전기 설치비용 알아보기
공용부지에 설치를 희망하실 경우에는 보조금이 지원되지만, 완속충전기를 주택 등에 설치하실 경우에는 개인 부담으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우선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기 위해선 충전기 구입 비용이 들어갑니다.
그리고 설치비용이 들어가고요,
전력을 끌어와야 하는 비용까지도 함께 생각하셔야 하는데요, 이 비용을 일컬어서 ‘한전불입금’이라 합니다.
이 커다란 세 가지 항목에 들어가는 비용을 모두 더해보면, 몇 kw(5kw, 7kw, 11kw 중 선택 가능) 완속충전기를 선택하실지에 따라 가격대가 달라지긴 하지만, 대략 150만 원에서 300만 원 내외가 소요됩니다.
참고로 벽부형(벽부착형)이 아닌 스탠드형으로 선택하실 경우엔 스탠드 구입 비용으로 20~30만 원 정도가 추가로 더 발생합니다.
어찌됐든 간에 전기차를 꾸준하게 이용하실 계획을 가지고 계신다면, 아마도 몇 년 안에 이러한 설치비용들은 충분히 뽑고도 남으리라 예상됩니다.
게다가 화석연료차가 종말을 고하는 시대가 성큼성큼 곧 다가올테니까요.
▶ (2024 최신버전) 집밥 완속충전기 설치순서 및 설치비용이 궁금하시다면 클릭!
아울러서 과금형 콘센트에 끼워 사용하는 휴대용 전기차 충전 케이블을 추가로 구매하실 경우에는 대략 20만 원 정도면 국산 충전 케이블 구입이 가능하십니다.
이때 반드시 KS인증을 받아 안전성을 인정받은 국내에서 만든 제품을 구매하실 것을 추천 드립니다.
그리고 과금형 콘센트나 완속충전기에 충전용 케이블을 연결해주기 위해선 테슬라 모델인 경우 J1772 어댑터를 별도로 구매하셔야 되는데요, 5만 원에서 10만 원 내외입니다.
하지만 완속충전기에 끼워 사용하시는 휴대용 충전 케이블 뿐만 아니라, 테슬라 J1772 어댑터 또한 차량 구매시에 모두 무상으로 제공됩니다.
당신이 놓치신 꿀 정보만 모았습니다!
▶ 2024년 자동차세 연납 할인률과 연납신청기간 알아보기
▶ 몰던 차를 중고차로 팔았을 때 연납한 자동차세 환급받는 3가지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