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비트코인 부자순위 TOP10과 함께 보유기업과 보유국 TOP5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상화폐 비트코인은 업비트 기준으로 이미 개당 1억 원 고지를 찍고, 2024년 4월 현재 9천5백만 원에서 1억 원 사이를 오르내리며 숨 고르기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워렌 버핏의 경우엔 비트코인은 도박용 코인에 지나지 않는다며 전혀 투자하지 않고 있지만, ‘돈나무누나’로 잘 알려져 있는 아크 인베스트먼트 CEO인 캐시우드는 비트코인이 50만 달러까지 치솟을 것이라고 장담하는 등 의견이 분분합니다.
어찌 됐든 간에 현재 비트코인이 상승 추세임은 분명한 듯합니다. 얼마까지 오를 것인지는 신의 영역일 뿐.

세계 비트코인 부자순위 TOP10
비트코인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 개인을 비트코인 세계에서는 흔히 ‘고래’라고 부릅니다. 왜 ‘고래’라고 부르는지 그 이유는 다들 아실 듯.
그렇다면 비트코인 고래들은 과연 누구일까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소유하고 있는 개인 고래는 비트코인을 만든 창시자 나카모토 사토시(Satoshi Nakamoto)로 알려져 있습니다. 22,000개의 지갑에 약 110만 BTC를 나눠서 가지고 있습니다.
정말 어마어마한 숫자이네요!
카더라 통신원들의 말을 빌리자면, 나카모토 사토시는 개인이 아닌 과학자 그룹이라는 설도 있고요, 이미 사망하여 보유한 BTC 지갑이 영원히 잠겨버렸다는 설도 있고 의견이 분분합니다.
1위부터 10위까지 비트코인 보유 부자 순위(지갑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1위, 2위는 글로벌 가상화폐거래소인 바이낸스(1위), 비트파이넥스(2위)인데요, 이들 거래소를 통해 개인이 사들여서 가지고있는 BTC의 총 갯수를 나타냅니다.
▶ 10위 또한 글로벌 가상화폐거래소인 바이낸스가 비트코인 준비금으로 모아 놓은 총 갯수를 나타냅니다.
▶ 3위부터 9위까지가 바로 진정한 비트코인 부자들입니다.
3위의 경우, 현재 136,295 BTC(점유율 0.6924%)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4년 4월까지 비트코인을 계속 사모으고 있는 상태입니다.
참고로 비트코인 고래들의 지갑 주소는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공개는 되어 있지만, 소유자에 대한 정보는 당사자가 공개를 하지 않는 이상은 블라인드 처리됩니다.
다만, 테슬라의 CEO 일론머스크, 바이낸스의 CEO 지오창펑, 마이크로스트레티지의 CEO 마이클 세일러 및 잭 도르시, 마이크 타이슨 등 몇몇 해외 유명인들은 이미 미디어를 통해 상당수의 비트코인을 보유 중인 비트코인 부자라는 것이 알려져 있긴 합니다.
세계 비트코인 보유기업 TOP5
가상화폐 동향을 분석하는 글로벌사이트인 코인게코의 자료에 의하면, 2024년 현재 전세계적으로 알만한 미국, 캐나다, 일본 등의 25개 기업이 총 60억 달러 이상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참고로 비트코인 보유수량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마이크로스트레티지(174,530개)는 현재까지 약 3배에 가까운 투자수익을 거두고 있네요!
구체적인 1위부터 5위까지 보유기업과 보유수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위 : 미국 마이크로스트레티지 – 174,530 BTC
▶ 2위 : 미국 갤럭시 디지털 홀딩스 – 17,518 BTC
▶ 3위 : 미국 마라톤 디지털 홀딩스 – 13,716 BTC
▶ 4위 : 미국 테슬라 – 10,500 BTC
▶ 5위 : 캐나다 허트 에이트 광산 – 9,366 BTC
세계 비트코인 보유국가 TOP5
그렇다면,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가 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엘살바도르 대통령이 비트코인 사재기를 하여 워낙 유명세를 치러, 엘살바도르가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을까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요, 역시 비트코인 보유국 1위 또한 미국(현재 시세 약 150억 달러 가치)으로 나타났습니다.
참고로 엘살바도르는 5,717BTC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1위 : 미국 21만 2,847 BTC
▶ 2위 : 중국 19만 4,000 BTC
▶ 3위 : 영국 6만 1,245 BTC
▶ 4위 : 독일 4만 9,858 BTC
▶ 5위 : 우크라이나 4만 6,3518 BTC
당신이 놓치신 꿀 정보만 모았습니다!
▶ 리플 1달러 언제 도달할까 (2024년 리플가격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