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야간보호센터 1개월 이용 비용(본인부담금 식비 포함, 감경 대상)은 얼마나 될까요?

집안에 부모님이나 연세 드신 어르신이 아프신데도 부득이한 사정으로 가족들의 돌봄을 받지 못할 경우엔 주야간보호센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서비스의 한 종류인 주야간보호센터란 정확히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며, 이용자격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한 달 이용 비용은 얼마나 하는지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주야간보호센터


주야간보호센터란?

주야간보호센터의 성격에 대해 가장 이해하시기 쉽게 정의해 보자면, ‘어르신들의 유치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즉 주야간보호센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허가받은 시설로써 어르신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자립생활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주야간보호센터 제공 서비스

요양 서비스

배뇨/배변 관리, 식사 및 간식 관리, 구강관리, 이미용 서비스, 말벗 친구

간호/의료 서비스

입소 시 일반 건강진단, 기본 건강 상태 및 투약관리, 건강검진, 예방접종, 진료지원 서비스, 욕창/상처, 틀니 관리 등의 간호 서비스

요양


참고로 주야간보호 센터에는 의사나 간호사는 상주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연계된 협력병원을 통해 건강검진, 진료 지원 서비스 등이 이루어집니다.

물리 및 작업 치료 서비스

초음파 치료, 전기적 치료, 인지/지각 치료, 연하장애 치료, 일생 동작 훈련


그 외에 다양한 여가 활동 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합니다.


주야간보호센터 입소 자격


장기 요양급여 등급(1~5등급 또는 인지 지원등급) 판정을 받으신 수급자에 한 해 주야간보호센터에 입소할 수 있습니다.

센터


그러므로 입소하기 위해선 장기요양급여 등급을 먼저 받으시는 것이 순서입니다.


주야간보호센터 이용요금

장기요양급여 등급 판정을 받게 되시면 기본적으로 이용금액의 85%는 정부에서 지원해 줍니다. 그러므로 입소자 어르신 또는 보호자께서는 이용요금의 15%만 본인부담금으로 내시면 됩니다.

게다가 차상위 계층은 9~6% 정도만 부담하시면 주야간보호 센터 이용이 가능하고, 기초생활수급자이실 경우엔 본인 부담금이 전혀 들어가지 않습니다.

2024년 재가급여 ​월 한도액(일반기준)


1등급 2,069,900원

2등급 1,869,600원

– 3등급 1,455,800원

– 4등급 1,341,800원

– 5등급 1,151,600원

– 인지지원등급 643,700원

단, 등급별로 재가급여 월 한도액이 정해져 있어서 이를 모두 소진하신 다음, 초과되는 금액부터는 100% 본인이 부담하셔야 합니다.

여기서 ‘재가급여 월 한도액’이란, 방문요양 급여, 방문목욕 급여, 방문간호 급여, 주야간 보호급여 등을 모두 통틀어서 이용할 수 있는 월 한도금액을 의미합니다. 일종의 마일리지와 같은 개념이라 이해하시면 될 듯 하네요.


이용시간별 수가

일반대상자 1등급 기준(2024년)으로 3시간 이상~ 6시간 미만 이용 시 1일당 본인부담금은 5,970원이며, 8시간 이상 10시간 미만 이용 시 1일당 본인부담금은 9,950원입니다.


수가
주야간 보호급여비용 1일당 수가 (2024년)


오후 6시 ~ 10시 이용요금부터는 20% 가산되며, 오후 10 ~ 오전 6시 이용요금과 주말 또는 휴일 이용요금 또한 30% 가산됩니다.

식비와 간식비는 100% 본인 부담입니다. (식비는 평균적으로 1식 기준 3,000원~4,000원/간식은 500원~1,500원 수준)


1개월 본인부담금 계산


그러므로 일반 대상자 1~5등급 기준으로 1일 8시간 씩 1개월(22일 기준)간 이용하실 경우,

본인이 부담하시게 될 예상 비용(본인 부담액+식비 및 간식 비용)은 약 40만 원에서 44만 원 정도가 나옵니다.

본인부담금


참고로 이때 비급여 항목인 식비와 간식은 1인 2식(4,000원 x 2 식/1,000원 x 2식), 1일 총 10,000원으로 책정한 금액입니다.


당신이 놓치신 꿀 정보만 모았습니다!

노인장기요양 시설급여와 재가급여 차이점 핵심만 3분 콕콕 정리

요양병원 비용 VS 요양원 비용, 1개월에 과연 얼마나 차이 날까?

아파트 주택 재산세 계산하는 방법(1세대 1주택 기준) 핵심 정리



카테고리 인기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