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출산율이 자꾸 떨어져서 큰일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출산과 관련된 각종 지원정책이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36개월 미만의 자녀를 두신 분들, 전기요금 할인 신청하셨나요?
그래서 오늘은 한전의 전기요금 복지할인 정책 중 하나인 출산 신생아 전기세 감면 제도에 대한 정보를 가져와 보았습니다. 아직 신청을 못하셨거나, 신청 방법에 대해 모르고 계셨다면 끝까지 정독해 보세요!

출산 신생아 전기세 감면제도란?
신생아 전기세 감면제도란 정부와 한전이 출산가구를 위해 내놓은 전기요금 지원 대책으로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인 영아가 1인 이상 포함된 가구를 대상으로 전기세를 월 최대 30%까지 할인해주는 정책입니다.
참고로 신생아 전기세 감면은 소득기준에 따라 따로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지원범위와 내용
구체적인 지원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월 30% 전기요금 할인(최대 16,000원까지 지원)
– 신청일로부터 3년간 할인 혜택이 주어짐
– 신청일이 속한 월요금부터 할인이 적용됨(소급 적용은 불가)
– 신생아가 쌍둥이, 다둥이 가족이어도 추가할인은 안됨
– 재외동포 및 외국인 가구도 해당됨(외국인 등록증 또는 국내거주 신고증)
자녀가 3인 이상인 경우(다자녀)와 가구원이 총 5인 이상인 경우(대가구)도 동일하게 월 30% 할인혜택이 주어집니다. 단, 주민등록등본 상 같은 주소지에 등재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신청방법
그럼 지금부터는 가장 중요한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참고로 온라인으로 신청하실 경우엔 출생증명서, 주민등록등본, 전기요금 고지서, 전기요금할인신청서, (외국인의 경우) 외국인 증명서, 국내거소 확인증 등의 서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전화로 신청하실 경우엔 서류 준비할 필요없이 기본정보와 고객번호만 말씀해 주시면 바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전화 신청을 추천드려요!
한전 고객번호는 전기요금 고지서 우측 상단을 확인해주시거나, 한전on 홈페이지(또는 한전on 앱)에 로그인하시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 전화
국번 없이 123번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 방문신청
행정복지센터(원스톱행복출산 서비스)를 방문하여 신청하시거나, 한국전력공사 지사를 방문하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신청
한전on 홈페이지 또는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그밖에 fax 또는 우편으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렇게해서 신생아 전기세 감면제도의 모든 것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았는데요, 만약 대상자가 되신다면 최대한 빨리 신청해주시기를.
당신이 놓치신 꿀 정보만 모았습니다!
▶ 2024 육아휴직제, 기간은 6개월 늘어나고 급여도 커진다! (6+6부모육아휴직급여)
▶ 2024년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자격(임산부, 맞벌이, 다자녀)알아보기
▶ 첫만남이용권 출산지원금 신청방법, 첫째아이 200만원 및 혜택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