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의 한달적금과 같은 금융상품을 일컬어서 흔히들 미끼상품 또는 유인상품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연 7%의 이자를 쳐주는 카카오뱅크의 ‘한달적금’과 3.60%의 이자를 쳐주는 우리종합금융의 ‘우리 WON CMA Note’ CMA통장에 동일한 금액을 각각 1개월 간 예치 할 경우, 이자는 서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이자 계산기를 직접 돌려서 확인해보았습니다.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저축방법
31일간을 매일 입금하게 되면 최고 연 7.00%의 이자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입금 금액은 100원 이상부터 최대 30,000원까지 입금이 가능합니다.

※ 단, 자동이체 설정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알람이 오면 본인이 직접 카카오뱅크 앱에 접속하신 다음 입금을 해주셔야 합니다.
요런 걸 유인상품이라고 합니다. 카카오 앱을 매일 방문하다 보면 다른 저축 상품이나 대출상품 등에 가입할 수도 있도록 유도하는 거죠.
어찌 됐든 간에 저축하기 루틴은 만들 수는 있겠네요.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이자 계산
자, 그럼 이자 계산기를 돌려 보겠습니다.
매일매일 1일 최대 저축 금액인 3만 원씩을 예치한다고 가정하면,
① 1일 차에 입금한 3만 원은 만기 기간인 31일 동안 은행 계좌에 자동으로 예치가 됩니다.
그러므로 이를 최대 이자 7%로 계산해 주면, 이자(세전)는 약 178원이 됩니다.
3만 원 × 7% × 31일 / 365일 = 약 178원
② 2일 차에 입금한 3만 원은 만기 기간인 30일 동안 은행 계좌에 자동으로 예치가 됩니다.
그러므로 이를 최대 이자 7%로 계산해 주면, 이자(세전)는 약 173원이 됩니다.
3만 원 × 7% × 30일 / 365일 = 약 173원
③ 이런 식으로 31일 동안 쭈욱 3만 원씩 예치하게 되면, 31일 차에 입금한 3만 원은 단 하루 동안만 은행 계좌에 예치가 됩니다. 그러므로 마지막 날 예치한 금액에도 최대 이자 7%로 계산해 주면, 이자(세전)는 약 5원이 됩니다.
3만 원 × 7% × 1일 / 365일 = 약 5원
④ 31일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 3만 원씩 총 93만 원을 예치하게 되면, 세후 이자 기준으로 2,423원이라는 이자수익을 거둘 수 있게 되십니다.
– 예금원금 : 930,000원
– 세전이자 : 2,844원
– 이자 소득세 : 421원
– 세후이자 : 2,423원
– 실수령액 : 932,423원
하루 100원도 안 되는 이자라니…. 제가 왜 미끼상품이라고 소개해 드렸는지 그 이유를 이제 아시겠죠?!
금리 7% 적금이라고 하여 엄청 높은 이율인지 알았지만, 착시효과였네요. 게다가 중도해지를 할 경우엔 기본금리 1.5%만 적용받게 됩니다.
CMA파킹통장 이자 계산
자, 이번에는 CMA 파킹통장 상품의 일종인 우리종금의 ‘우리 WON CMA Note’ 통장에 93만 원을 1개월 간 예치해 놓았을 때는 얼마의 이자를 챙길 수 있을지 이자 계산기를 돌려 보았습니다.
– 예치 원금 : 930,000원
– 세전이자 : 2,790원
– 이자 소득세 : 430원
– 세후이자 : 2,360원
– 실수령액 : 932,360원
그러므로 ‘우리 WON CMA Note’ 통장에 한 달 간만 93만 원을 예치해 놓아도 세후 이자 기준으로 2,360원이라는 이자수익을 거둘 수 있게 되십니다.
– 카카오 한달적금 이자수익 : 2,423원
– 우리 WON CMA Note이자 수익 : 2,360원
숫자상으로는 카카오뱅크의 한달적금 상품이 우리 WON CMA Note 상품 대비 63원 더 높은 이자수익을 낼 수 있는 것으로 결과값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연 7%와 연 3.6%라는 이율만을 놓고 단순비교해 보았을 땐 ‘한달적금’상품이 결코 이득이라고는 할 수 없는 금액인 듯합니다.
제 나름대로의 결론을 내려보자면,
한달적금 상품은 저축하는 습관을 만들기에는 좋은 상품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수익 면에서는 경쟁력이 좀 떨어지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상!
당신이 놓치신 꿀 정보만 모았습니다!
▶ ISA계좌에는 이 종목 담아야 이득입니다! (개정안 기준으로 3가지 수익 비교)
▶ 연금저축과 IRP계좌의 차이점, 이 것 4가지가 핵심!
▶ 전세계 비트코인 부자순위 TOP10(보유기업 및 국가TOP5)을 알아보자!
▶ 이표채 할인채 단리채 복리채 채권종류별 차이 3분 총정리
▶ 퇴직연금제도 3가지 유형인 DB형 DC형 IRP계좌 개념 탑재하기